오늘, 그만큼
행복에 대한 욕망과 광고를 통한 상품화는
경제적 신자유주의, 현재 세계화의 엔진, 누가 가지고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대중 산업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반대웰빙 사회 그 중 첫 번째
조건은 각자의 권리에 따라 조직된 동거를 제도화하는 것입니다.
살다, 그리고 단순히 생존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과 타인을 존중하기 위해
상태, 민주주의 .
허리, 민주주의 사이에 모순이 있다는 것을,
미래를 향한 세 가지 기본 조건인 사랑과 행복
질서 있는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 건설
생태학적으로 파괴적인 인종이 아닌 존재의 .
그러나 우리는 행복을 행복으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정복하고 보존할 자본. 행복은 존재의 질이다, ㅏ
강도 품질, 삶의 예술 “모두 좋은 시간에” .
가장 큰 도전은 토크의 상단에 나오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시스템을 특징짓는 흥분/우울
이른바 진보, 금융 시장, 정치적인 광경,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및 유비쿼터스 미디어. 이러한 방식으로 강도에 접근하기 때문에
불균형에 기초한 우울한 국면에 의해 현금으로 지급되고
과잉. 어떤 우울 단계가 새로운 필요를 불러일으키는가?
흥분, 등등 .
이 악순환은 끊어질 수 있다 ; 다른 것
라이프스타일이 가능하다, 개인적으로도 집단적으로도. 그
강도 / 평온 비율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느낄 때 느끼는 방식입니다.
깊은 기쁨은 우리를 비추고 우리를 고립시키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연결합니다.. 이 기쁨,
사랑에서 태어날 수 있는, 아름다움, 내면의 평화, 즉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 다른 사람과 자신에게, 그럼 모든
강렬하고 고요한. 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평온
지속, 흥분과는 반대로. 그러한 접근 방식은 결코 이것을 배제하지 않습니다.
큰 파티인 특정 형태의 강렬함, 카니발, 이벤트
문화 또는 주요 스포츠, 또는 인생의 예외적인 시간
개인 또는 집단 .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이 시대를 지금과는 다르게 살도록 초대합니다.
여기 모델에 따라, 따라서 측면을 피하고 “입
나무의” 또는 비뚤어진 쾌락의 논리, 설렘이 있는 곳
사실 다른 사람에 대한 지배에 의해 획득 .
그만큼“행복한 금주” 긴축이 아니거나
금욕주의. 이 의식적인 여정을 강렬하게 살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인간의 모험이 우리에게 제공한 우주의 생명. 그것은 또한, 에
정치 계획, 모든 인간이 옹호할 수 있는 권리
트루 라이브 .
질문이야
모두가 알아야 할 필수, 특히 그 유한함을 알고.
이 인간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그것을 가능하게 한 이 우주의
140억년이라는 엄청난 과정의 끝 ? 그럴거야
불가지론자, 무신론자 또는 신자, 그것은 언젠가 우리가 하지 않는 질문입니다
미루지 말고 물어봐 .
의 이야기
문명은 무엇보다도 문명이
이 궁극적인 질문에. 대부분, 필수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심지어 중요한, 인간은 의미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도구화했다.
다소 폐쇄적인 설명 체계를 설계하여 생명을 불어넣다
때로는 진정되지만 때로는 역설적으로 결과를 낳았습니다.
자유보다 훨씬 더 살인적인, 평등과
협동 단체 .
라는 질문 때문에
“감각”, 질문을 할 수 있는 특권적인 공간이 아니라
인류를 위한 지식과 지혜의 성장, 종종 되었다
독단적인 답변 벡터. 퀘스트를 존중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권력에 대한 의지가 지배하는 인간의 압력 집단,
탐욕, 공허함에 대한 두려움과 권력 추구가 공허함을 지배하려 한다
아니면 제외, 그 다음 전쟁을 촉발시킨다. “감각”. 그리고
그것이 초월적인 종교를 중심으로 돌아가든
속가. 똑같은 살인적인 논리가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을 위해 작동하고 있습니다.
역사의 이름으로 모스크바 재판, 촉발된 대량학살의 희생자들을 위해
전체주의 정치 체제에 의해, 인퀴지션의 죄수들을 위해
가톨릭 (토르케마다) 그리고 개신교 (칼뱅), 유대 근본주의나
이슬람 샤리아 .
이 모든 경우에,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여전히 직장에서 너무 자주 사용되는 것은
타자, 또한 타자성의 제1법칙은 다음과 같다.
“감각” 생명을 주기 위해, 그의 삶과 다른 사람들의 삶에서, 그거 하나야
의양심의 자유, 매우 연약한 개념이지만
경계심과 완고함 외에도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차용됩니다.
자아 존중감, 타인에 대한 존중, 진정성을 추구하다, 사랑의
깨끗한 느낌, 단순함의, 겸손의, 충만함과 사는 법을 아는 것 .
할 시간이다
오다, 분노와 빛으로 가득 찬, 미래의 단이 풀리는 곳
희망의 분야에서. 그럼 좋은 남자들과 여자들이
긴 산책을 연장하기 위해 일어날 것입니다, 오버행
신비, 위대한 환적의 살아있는 일의 연속자들, 엄청난
삶의 일, 우리의 개인적인 규모에서 부족, 하지만 너무 오랫동안
미래의 전개, 그리고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빚진 흔적에 의해 작동합니다.
우리 후손들이 참고할 큰 회고록에 들어가기 위해 .
그 마음, 마음과 이성은 이 문제에서 우리를 돕습니다. “감각” 이 팽창하는 우주에는 우리보다 더 큰 존재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요소의 밀짚 장난감의 마른 덩어리만큼 좋아 보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속한 이 광활한 세계의 작은 홀로그램 세포, 무엇에 대한 책임과 면전에서 .
저것
입문 과정에서 일어난. 어느 날, 시간 동안
폭풍 속에 있었다, 우리는 구름을 통해 이 표시를 감지했습니다.
달래는, 하늘 깊은 곳에서 올라온 이 모루 .
귀머거리 때
흔들림이 산을 가로질러, 우리는 그 다음 땅에 던져졌다
스토니 페이스 다운, 마비된, 이 분노의 끝을 기다리며
그 효과는 우리 내면 깊숙이 울려 퍼졌다. .
잠시 후
차원을 벗어난, 돌아보니 의외로 맑은 하늘
폭풍의 흔적을 보이지 않았다, 너는 거기 있었다, 내 동생, 움직이지 않는, 그들을
가벼운 아침 바람에 흔들리는 옷, 떨리는 수염과 표정
기원의 계곡에 부드럽게 초점을 맞춘 .
공기는 맑았다.
상큼한 꽃향기가 피어올랐다. 우리는 서로 쳐다보지도 않고 우리의
등반을 계속하기 위한 수하물 .
___ 전이었습니다.
몇 세기. 그때 우리는 진정으로 의식이 있는 남자가 될 만큼 충분히 늙었다
우리의 책임과 우리에게 할당된 임무. 우리는
이 형언할 수 없는 힘에 의해 나타난 운명과
우리를 지식과
지혜의, 위대한 미스터리로 가는 길에.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였다.
삶 .
기억하다
찬 비와 함께 거센 바람이 불던 그 밤
우리 뒤에 나무를 부수고 눕혀. 지구는 분노했다. 만약에
우리 앞에 팠던 깊은 계곡
우리 안에서 자신 있게 계속 전진할 수 있도록 섭리를 간구합니다.
우리보다 더 큰 사람에게 넘겨주는. 우리는 이 시련에서 성장해야 했다 .
기억해
격렬하게 크게 노래하는 들판을 걷는 우리의 조용한 시간
단순히 살아 있다는 기쁨이 우리를 부주의와 충만함으로 채웠다..
우리 주위에는 가벼움이 있었고 손을 잡고
가족의 집 주변을 긴 산책을 했다, 금발 너머
블루베리가 점재하는 밀밭, 데이지와 양귀비를 흔들며
가벼운 바람 아래 움직이는 짐승의 모습을 드러낸다.
귀를 구부린 다음 바스락거리는 소리로 움직였다.. 전율이 우리를 관통했다
그리고 좋았어 .
날씨가 화창했다
오늘 아침. 우리가 가지고 온 중고 학교 앞치마를 입고
휴가, 당신은 현관에서 단단한 돌계단을 내려와,
당신의 지팡이를 찾아, 가서 길의 두들겨 진 땅에이 표지판을 따라가십시오.
나를 말문이 막혔다. 당신은 나에게 길을 알려준 가이드 .
이것을 기억
우리가 유혹의 구멍에서 벗어나기 위해 선택한 좁은 통로. 그
위험으로 가득 찬 이 더러운 식기는 어두웠지만 우리는 결코
물이 가득 찬 구덩이에 빠졌다. 포도주 통만 숨겨둔 곳
할아버지와 빨대에 의해 보호되는 치즈 몇 조각
두꺼운 린넨 티 타월 .
기억하다
올 겨울은 고지대를 걷는다., 에 의해 변형된 도로에 의해
얼음과 눈, 모험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아래에 싸여
파카와 비니, 캔버스 캐빈으로 들어오는 찬 공기
열린 우산이 덮은 큰 틈으로 뚫린 차량, 범프
그리고 스키드는 우리를 승리를 외치게 만들었습니다. 숲에서 멈췄다
우리는 눈덩이를 던진 후 고통스러운 못을 만났습니다
우리 과거의 카라반세라이에 맞서 .
우리는 보지 않을 것이다
더 이상 느린 캐러밴은 없습니다, 낙타의 땀으로 반짝이는 향기와
향료. 우리는 더 이상 그들의 말을 인도하는 사람들의 외침을 듣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의심하지 않는 다른 곳에 대한 내성적. 이것에서 나에게 돌아와
기원의 사막
시문과 이 뻗은 손, 에서 나온 현명한 노인에게서 갈색과 금이 갔다.
보물을 드러내기 위해 열린 곳은 어디에도 없다, 이 단단한 과일, 검은색과
엉겅퀴와 가시덤불이 늘어선 길가에서 발견한 주름진 .
머물지 마
오늘 우리 아이들의 아주 평범한 반주 …
여기 ! 광장에 그들은 열정의 천막을 세웠다 … 우리
위대한 변화의 책이 계속되기를 기다릴 것입니다. .
지금, 거기
하나도 없었어, 당신은 형제를 잃었다 .
기억
출생의 복도에 들어가는 것이 우리를 너무 두려워했습니다.. 너, 당신의
우리를 도울 마법의 공식을 외우고
반대편으로 넘어가다, 새로운. 두 번째 기회는 없었다. 아무것도
미루는 시간이라는 생각의 썰물에서 흩어진 돌덩이
소유와 보안 지향 .
하늘이 가지고 있는
열려 있는. 수 백내장은 우리 역사의 흔적을 휩쓸었습니다.. 어린이들
이 나라에서 상상으로 자급자족하는 은사를 가진 현자들
먼 특별한 모험, 우리는 이제 노래를 멈췄다
우리의 기원. 그리고 때때로 폭풍우가 몰아칠 때, 벽난로 앞에서
찌끼, 우리는 과거의 재를 휘젓는 제스처를 남겼습니다., 붓다, ~로
감성과 진심의 교차로, 사실이라고, 그냥 뭔지 말해
.
우리의 부름
어머니, 우리는 더 이상 그것을 듣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를 앞에서 맛보라고 초대한 그녀
이빨로 씹을 수 있는 뜨거운 바나나 우유 한 그릇 큰 빵 조각
레드커런트와 블랙커런트 잼을 뿌린 갈색 빵 ; 큰 빵 조각
우리 할아버지는 파이를 자르고 서명하는 것을 잊지 않았습니다.
그가 처음으로 그곳에 칼을 들었을 때의 십자가. 의 클라이드
정원 나무는 닭이 다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 이상 닫혀 있지 않습니다.
농장 한가운데에서 장난치다. 우리는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강판에 간 당근과 계란으로 샐러드를 장식하기 위해 마지막 순간에 파슬리
함수초 .
물에 관해서는
이 무거운 아연 양동이의 분수에서 끌어야 했던 우물
상승에, 가끔 바람이 나에게 말할 때, 노파가 웃는 소리가 들린다 .
기억 나니
? 새들의 아침노래와 종소리가 조화를 이루기 위해
교회에서 당신과 아주 가까이 있었던 이 신맛을 꺼냅니다., 나의
형제 .
L’acceptation
de soi-même est difficile. Il y a en nous l’étonnante demande d’être autre que
nous ne sommes. Parce que nous nous sommes demandé, parce qu’on nous a demandé
comme enfant d’être autre que nous étions. Nous avons refusé notre vérité, et
c’est l’impasse .
Ce qui nous a empêché de nous épanouir, c’est que nous n’avons pas assez
été reconnu, aimé et accepté tel que nous étions. Aussi nous sommes nous jugé,
pour ensuite nous condamner, tout au moins pour tel ou tel aspect de
nous-même, en compensant par l’amour-propre ou la vanité. Alors que le
véritable amour de soi, si fondamental, est exactement à l’opposé de
l’égocentrisme .
Cette non-acceptation de nous-même est la force de notre ego, la grande
force de la prison qui nous coupe de la grande liberté de vraiment Être
. Mais pourquoi donc ne pourrions pas nous aimer tels que nous sommes ? Et
pourtant après tant de recherches, d’expériences, d’observations, d’erreurs
aussi ; je vis .
La vie nous aime, absolument, et à chaque instant. C’est elle qui nous a
créé, et qui nous anime .
L’amour que nous pouvons ressentir en certaines circonstances, devant un
spectacle de la nature, devant un bel objet, devant une personne sage, devant
une vision spirituelle, devant un flash “numineux”, fait que se grave
en nous un nouveau regard sur nous-même .
Et puis derrière les coups durs, derrière l’épreuve, nous pouvons entrevoir quelque chose à la fois d’indicible, de très haut, de si essentiel et qui nous aime. A ce niveau le sens de l’ego individualisé s’efface de plus en plus pour que s’ouvre en nous humblement un chemin, le chemin correspondant à notre demande d’infini, d’illimité, d’absolu qui est le propre de l’homme debout, de l’homme en marche .
En français, existe l’expression “silence de mort”, alors que l’expérience du silence déborde de vie .
Inviter quelqu’un au silence ne veut pas dire lui demander de se taire,
pas plus que se tenir en solitude équivaut à couper toute relation .
Rejetons l’injonction “taisez-vous” pour préférer le
“chut” prononçé à voix basse avec l’index posé au travers des lèvres
pour inciter au silence .
Chut
! Il peut se passer quelque chose que vous n’imaginez pas, que vous pourriez
voir, entendre ou sentir, qui semble caché, et qui peut se révéler et vous
éblouir par sa nouveauté et sa pertinence .
L’invitation au silence peut être comme une invitation au voyage. Elle
permet l’ouverture des sens et l’approche de la vie intérieure. C’est une
attention qui peut aller jusqu’à la contemplation et à la dilatation de l’être
qui va jusqu’à la jubilation .
Mais le silence réclame du temps comme les choses essentielles. Il ne se
montre jamais pressé. Il a besoin de tout son temps car il est au-delà du temps
d’ordre temporel .
Il convient d’abord de lui faire de la place, c’est-à-dire de nous
délester du fatras des pensées, des soucis, des émotions agréables et
désagréables, et même des mots .
Si le silence fait peur à une majorité de personnes, c’est parce
qu’avant de le rencontrer et de l’apprécier, chacun est assailli par ses
animaux intérieurs – que sont les passions, 자부심, la colère, le
désoeuvrement, l’ignorance, la volonté de puissance, la fausse humilité, la
séduction, 등… – et qu’une fois les fauves calmés, on se sent seul, 잃어버린,
orphelin, avec la funeste angoisse qui monte .
Blaise Pascal a écrit : ” Rien n’est si insupportable à l’homme que d’être dans un plein repos, sans passion, sans affaire, sans divertissement, sans application. Il sent alors son néant, son abandon, son insuffisance, sa dépendance, son vide. Incontinent il sortira du fond de son âme l’ennui, la noirceur, 비애, le chagrin, le dépit, le désespoir . “
Tant
que la personne n’a pas rencontré véritablement le silence, elle ne se sent
exister que par l’action et l’agitation, par l’incertitude et la
procrastination, par la souffrance et les problèmes de tous genres. Elle
demeure à la périphérie d’elle-même. La peur du vide qu’elle ressent rien qu’à
l’idée de se tenir en silence n’est autre que l’effroi de son propre vide, de
sa pauvreté intérieure .
또는, plus nous allons vers notre intériorité, plus nous avançons vers le
silence et plus les portes s’ouvrent sur un espace incommensurable. Alors que
dans la vie extérieure, nous vivons à la remorque de ce qu’il faut faire pour
bien se comporter dans notre société, à savoir comme un simple
“mortel” ; dans la vie intérieure nous sommes un être humain appelé à
la croissance, 자신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et même à sa perfection à sa
réalisation “immortelle”. L’être se sent alors pleinement en
possession de lui-même, il est près de la source et se manifeste en plénitude .
Plus on se tait et plus on trouve d’égards envers la Parole et le Silence, et
moins on bavarde .
Pour celui qui a goûté le silence, les discussions, débats, réunions de
famille et colloques intellectuels deviennent difficilement supportables parce
qu’étouffants. Le silencieux, comme le solitaire a besoin d’air et d’espace ;
il a besoin de l’expérience du large, du vaste, du profond. Tout le reste lui
paraît plat, étriqué, superficiel. 그만큼 “communication” obligatoire et
convenante lui paraît grotesque.
Lorsqu’un être humain est réellement unifié il peut être délivré de cette obsession de communiquer à tout bout de champ et à propos de n’importe quoi. Seul le partage essentiel sur des sujets essentiels ou l’échange silencieux de cœur à cœur ont un sens et offrent une véritable nourriture .
Nous vivons
la fin d’un monde fondé il y a peu sur les religions, les fidélités de
proximité, les patriotismes ; et aujourd’hui marqué par le consumérisme où les
incitations publicitaires nous manipulent au service d’une globalisation
économique et culturelle accentuée par les bouleversements technologiques .
Le rapport au sacré a été modifié. La quête du sens auquel faisait suite
un automatisme de la réponse fondé sur la religion n’existe plus. A la question
: “Pourquoi je suis sur Terre ?”, font suite des réponses
scientifiques et politiques bien générales. On ne peut plus s’appuyer sur la
tradition. Nous sommes en face de nos peurs, … et là nous sommes alors
convoqués à être en face de nous-même .
Donner du sens à la vie que l’on mène ne tombe pas sous le sens, car les
gens empruntent des rôles. Ils disent qu’ils sont victimes du climat, 의
기타, de la conjoncture, qu’ils avaient tout pour être heureux et puis que
… 또는, notre bonheur et notre malheur nous appartiennent. Nous sommes responsables
de notre bonheur et de notre malheur car nous avons l’opportunité de grandir,
de croître .
Nous avons à avancer les yeux ouverts sur le chemin .
Le sens de la vie, c’est l’amour. On ne peut pas vivre sans amour, cet
échange du coeur, cet amour homme/femme, cet amour filial, cet amour entre deux
êtres. L’amour est communion. L’amour est relation avec nos semblables, avec
les animaux, le végétal, la nature, le cosmos et par nos pratiques religieuses
.
Nous sommes des êtres sociaux, des êtres de relation. Nous avons besoin
de donner, de nous éveiller les uns aux autres. Nous sommes là pour nous faire
du bien par l’attention portée à l’autre, l’amitié, la compassion, le don .
Le but de la vie serait-il pas de s’accepter tel que l’on est ? Mais pour
celà, il faut le regard de l’autre pour lire dans le regard de l’autre que nous
sommes aimables. Aime et tu seras aimé. Nous devons avoir de la tendresse pour
nous-même .
Il y a des gens qui ne voyant qu’au travers de l’optique matérialiste ne
se posent pas la question du sens de la vie. “Einstein disait, qu’un être
humain qui ne se pose jamais la question du sens de l’existence, qui ne s’intéresse
pas au sens de la vie, n’est pas un être humain .”
Aujourd’hui nous sommes dans un monde où l’idéologie dominante est le
consumérisme, 어디 : “Le but de la télévision, comme le disait Patrick
Lelay, c’est de rendre les cerveaux dociles !”. Le lavage des cerveaux,
c’est la publicité .
Pour contrecarrer cette outrance chosifiante et mortifère, nous avons
besoin de nous recentrer sur nos besoins corporels et sensoriels immédiats qui
ne peuvent nous tromper quant ils sont reliés à l’amour, à la tendresse, aux
sens des choses simples, au spirituel. Nous devons dire oui à la vie.
L’essentiel c’est d’apprendre à aimer la vie, et pour celà travailler sur nos
blessures .
Notre chemin de vie est d’aller de la peur à l’amour. Là est notre joie,
notre joie d’être, de vivre, d’exister. Mais comme cela est refoulé, c’est en
conscience que nous devons conjurer l’ignorance et nous confronter à ce qui
est, à l’expérience de tous ces jours qui nous apportent leur lot de surprises.
Par la psychothérapie, mais aussi par la méditation et la prière, nous avons à
laisser les choses être. C’est par cette astreinte intelligente, et par le
ressenti sensoriel, qu’il y a ouverture du cœur .
Nous avons à beaucoup pleurer en nous plongeant dans le regard d’un petit
être, en observant un joli paysage, une oeuvre d’art, ou bien en écoutant une
musique et des chants qui parlent au coeur. Là est le sens de la vie. La
réponse est soumission à ce qui est, ouverture des sens. La réponse est
“joie” .
Laisser venir à nous les enfants, les petits oiseaux, l’esprit du temps
qui passe, et surtout ne fermez jamais la porte. Il ferait alors trop chaud,
nous manquerions d’air, l’enfer ne serait alors pas loin, … alors qu’il y a
tant à faire !
눈물은 우리의 경계와 같다.
육체적 상태와 우리의 영적 상태, 사이의 전환점으로
우리가 들어갈 수 있는 현재와 내세
이미 이 삶에 대한 기대.
갓난아이가 울고 있다
우리가 이 세상에 올 때.
우리는 절대 주어서는 안 된다
눈물 흘리지 않고 사랑을 받고.
눈물은 회복될 수 있다
잃어버린 처녀성.
구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세 가지 종류의 눈물 : 관능적 인 눈물, 영적 눈물
그리고 악마의 눈물.
눈물
악마 같은, – 그리스 어 “디아볼리코”, coupé en deux – sont les
larmes pour faire semblant, les larmes de crocodile, les larmes qui
opportunément permettent à l’individu de se mettre en correspondance avec ce
qui lui sied de circonvenir. Ce sont les larmes de la désespérance, les larmes
de l’hypocrisie qui trompent la compagnie et nous enfoncent dans la fausseté
par le clivage qui s’opérant en nous, nous trompent aussi nous-même.
Les larmes
sensuellessont généralement liées aux passions. Ce sont les fruits de
la colère, de la frustration, de l’envie, de l’apitoiement sur soi-même ou simplement
de l’excitation nerveuse. Elles expriment notre tristesse de vivre dans un
monde qui n’est pas à la hauteur de nos aspirations. 금지되어 있지 않다
큰 시련이나 장례식 앞에서 울다 ; 오히려 현명하다,
눈물은 연고처럼 작용하고 상처는 더 깊기 때문에
통증이 억제될 때.
눈물
영적인 우리 자신의 노력의 결과가 아닙니다. 그들은
다른 곳에서 온 선물. 그들은 우리 자신의 깊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를 새로운 삶으로 인도합니다.. 그들은 두 가지 주문입니다. 정도까지
낮추다, 그들은 쓰라리고 우리를 정화합니다 ; 그들은 피와 같다.
우리 영혼의 상처에서 흐른다. 최고 수준으로, 그들은 달콤하고
다른 곳에서 더 나은 것을 위한 서곡의 깨달음으로 우리를 맡기십시오. ;
그들은 우리 감각의 영성화를 나타내고 참여합니다.
인간의 변신. 이 두 가지 영적 눈물
그러나 너무 심하게 반대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하나
다른 것으로 이어집니다. 후회의 눈물로 태어나는 것은
감사와 기쁨의 눈물.
예복을 입은 자
눈물의 신부의 고통, 영적인 웃음의 결혼을 안다.
영혼과 먼 공간의 외로운 고요.
Accepter당신을 불행하게 만드는 삶의 이러한 것들, 다쳐서, 화난과거와 현재의 삶의 것들그리고 아직어떤 상황도 받아들여야 한다그녀가 오면그녀가 누구든그렇구나이것이 어떻게, 지금이것이 일어난 일입니다 .기분에 맞는 시간이 지나면미루지 마십시오수용 후 반성과 행동이 있다. 수용은 상황을 도피하는 것이 아니다그것은 그녀의 얼굴을보고있다그녀의 이름을그것을 이해하다분별하다en avoir connaissance parfaite당신에게 정말로 중요한 것과 직면함으로써. 기쁨이 고요슬픔과 불행이 우리를 공격할 수 없는 이 상태이 선물은 다른 사람에게 만들어지고궁극적인 자기 존재오르간의 완벽한 음악 코드깊숙이.125
무엇을 하든거기 있어대기 중갑옷을 쪼개기 위해 올 것아니면 오지 않을거야간판이니까 상관없어아무도 표지판을 구별할 수 없도록 . 메모리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할지우리가 떠난 후무의미해진다집집마다 시행착오를 겪으면서우리에게 간단하게 가르쳐 "보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곳으로 갈거야미움도 즐거움도 없이있었다는 기쁨만으로et d'être jusqu'au point de non-retour존재 중의 존재조금존재의 창조자무를 향한 행진모든 것이 멈추고 계속되는 곳우주가 팽창함에 따라물질과 에너지의 교환그 마음은 분리될 수 없다 .우리는 행상1초의 아주 작은 부분사랑의 메시지당신 또는 나의 삶의상관없어그 사이부터우리를 차별화하고 통합하는 것들고있다 "우리" 최고 .124
Monte la plainteEn volutes lentesSourde tornadeJusqu'au regard amèneFigé par la sidération .L'anse du panier est à tresserD'entre les objets sacrésLa passiflore épanouieRagrée le sens de la vieLe maudit est passé .En marche par les sentes escarpéesLe limon colle aux piedsS'entrouvre une lueur diaphaneD'entre les voix des suppliantsLâches dans leur penchant à la servitude .En colonneL'humanité investit les lacets de la montagneAscension régulièreAux rythmes des cymbalesEt des oriflammes claquant au ventVers le Très Haut .Les visages toute de sagesse burinésSe mêlent aux lancinantes mélopéesConjugaison singulièreOffrant refugeÀ nos âmes éprouvées .123